[Time Series] 이중지수평활법
이번 포스트에서는 드디어 시계열 모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으며, 그 중 현업에서도 종종 사용되는 모델인 이중지수평활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계열에 대한 자세한 내용들은 생략하겠지만, 우선 지수평활법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중지수평활법의 특징은 무엇인지, 실제 ...
이번 포스트에서는 드디어 시계열 모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으며, 그 중 현업에서도 종종 사용되는 모델인 이중지수평활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계열에 대한 자세한 내용들은 생략하겠지만, 우선 지수평활법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중지수평활법의 특징은 무엇인지, 실제 ...
안녕하세요~! 빅데이터가 아닌 스몰데이터일 경우, AI 모델보다 통계 모델이 더 잘 적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통계 분석 카테고리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Statistical Analysis의 첫 번째 포스트로 Tobit Model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인 통계 ...
이번 시간에는 Boosting의 기법 중 하나인 ExtraTree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andomForest와 비슷한 기법이지만 차이점이 분명히 있는데요. 어떠한 점에서 다르고, 장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RandomForest에 대해 사전 지...
안녕하세요! 최근 AI 기법들에 대해 설명 드렸었는데 잠시 쉬어가는 의미로 오랜만에 수리통계학 분포 시리즈로 돌아왔습니다. 올해 마지막 포스팅으로 코시 분포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도 지난 포스트에 이은 Anomaly Detection 포스트입니다. 모델 기반 Anomaly Detection 기법 중 하나인 Isolation Fores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언뜻보면 Random Forest와 비슷한 부분도 있지만, 목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