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Survival Analysis] 생명표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생존분석에 대해 다뤄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생존분석은 다른 데이터 분석들과 구분되는 큰 이유가 있는데요. 바로 중도절단 데이터를 이용한다는 점입니다. 이전에 Tobit Model 포스트에서 설명드린 바가 있듯이 Censored Data(검열 데이터)...

[Time Series] Holt-Winters 계절성 기법

지난 포스트에서 시계열 모형의 기초적인 모델이라 말할 수 있는 지수평활법의 개념과 이중지수평활법에 대해 설명드렸다면,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한 형태인 Holt-Winters 계절성 기법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데이터에 대해 이중지수평활법을 사용...

[Time Series] 이중지수평활법

이번 포스트에서는 드디어 시계열 모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으며, 그 중 현업에서도 종종 사용되는 모델인 이중지수평활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계열에 대한 자세한 내용들은 생략하겠지만, 우선 지수평활법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중지수평활법의 특징은 무엇인지, 실제 ...

[Modeling] Tobit Model

안녕하세요~! 빅데이터가 아닌 스몰데이터일 경우, AI 모델보다 통계 모델이 더 잘 적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통계 분석 카테고리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Statistical Analysis의 첫 번째 포스트로 Tobit Model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인 통계 ...

[Modeling] ExtraTrees

이번 시간에는 Boosting의 기법 중 하나인 ExtraTree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andomForest와 비슷한 기법이지만 차이점이 분명히 있는데요. 어떠한 점에서 다르고, 장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RandomForest에 대해 사전 지...